python 숫자

|

패스트캠퍼스 웹 프로그래밍 수업을 듣고 중요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.
개인공부 후 자료를 남기기 위한 목적임으로 내용 상에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.
이 포스팅에서는 python 숫자에 대해 설명합니다.


내장데이터 타입(숫자)

수학연산자

연산자 설명 결과
+ 더하기 32 + 7 39
- 빼기 82 - 2 80
* 곱하기 3 * 7 21
/ 나누기 7 / 2 3.5
// 정수 나누기 7 // 2 3
% 나머지 7 % 3 1
** 지수 2 ** 10 1024

산술 연산자 결합

>>> a = 100
>>> a -= 3
>>> print(a)
97

우선순위

>>> 10 + 5 * 4

>>> 20 + (300 + 50 * 4)

진수

  • 2진수(binary) : 0b 또는 0B
  • 8진수(octal) : 0o 또는 0O
  • 16진수(hex) : 0x 또는 0X

실습

1.양수 1234를 표현해본다.

+1234

2.음수 100을 표현해본다.

-100

3.10과 3의 덧셈, 뺄셈, 곱셈, 나눗셈, 정수나눗셈, 나머지, 지수 연산을 실행해본다.

10 + 3
10 - 3
10 * 3
10 / 3
10 // 3
10 % 3
10 ** 3

4.c에 60을 할당 후 8과의 산술연산자 결합으로 아래 목록을 표현해본다.

c = 60
  • 나누기 연산 결과를 표현
  c / 8
  • 정수 나누기 연산 결과를 표현
  c // 8
  • 나머지 결과를 표현
  c % 8

5.부동소수점형 변수를 정수형으로 형변환을 해본다

int(6.2342)

6.정수형 변수를 부동 소수점형으로 형변환을 해본다.

float(3235)